본문 바로가기

Study/경제 신문 스크랩

[📰신문스크랩] 스튜디오가 살아 움직인다 …버츄얼스튜디오로 승부수 던진 SK

📰 기사 원문

엑스온스튜디오, 미디어엘, 두리번 등 버추얼 컨소시엄 구성
SKT의 5G·AI 등 ICT 인프라와 각 업체 보유한 VFX 기술·노하우 시너지 기대
영화·드라마 제작뿐 아니라 팬미팅·쇼케이스 등으로 활용영역 확대
SKT가 엑스온스튜디오, 미디어엘, 두리번 등 국내 주요 버추얼 프로덕션 업체와 ‘팀스튜디오 컨소시엄’을 이뤄 초(超)협력 기반의 미디어 생태계 확장에 본격 나선다고 밝혔다. (사진=SKT제공)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SK텔레콤(017670)(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의 미디어 콘텐츠 제작소 ‘팀 스튜디오’가 국내 주요 버추얼 프로덕션과 컨소시엄을 이뤄 버추얼 스튜디오 생태계 확장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팀 스튜디오는 지난 6월 경기도 성남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 개관한 LED월 기반 콘텐츠 제작소다.

3050㎡(약 930평) 규모로 U자 형태의 ‘볼륨 스테이지(길이 21M x 높이5M, with LED플로어)’와 ‘XR스테이지(길이 5M x 높이 3M, with LED 플로어)’ 등 2개의 ‘LED 월 스테이지’를 갖춰 현지 로케이션에 나서지 않아도 실제와 같은 수준의 그래픽을 실시간을 연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화면합성 등을 특수효과를 입히는 기술은 크로마키 등을 활용해 초록·블루 스쿠린 앞에서 배우들이 연기해야 했지만, LED 월을 활용하면 현실과 같은 생동감 속에서 배우들의 촬영 몰입도를 높이고 후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이날 SKT는 버추얼 프로덕션 관련 대표 국내기업과의 컨소시엄 구성도 발표했다. SKT와 협력에 나선 업체는 지난 2020년 국내 최초 LED 월 스튜디오를 개관한 ‘엑스온스튜디오’(대표 장원익), 최근 개봉한 영화 ‘한산;용의출현’ 제작에 참여해 시각 특수효과 기술력을 입증받은 ‘미디어엘’(대표 이경면), 자체 기술로 개발한 리얼타임 콘텐츠 솔루션 ‘아이튜버’(I-TUBER)로 주목받고 있는 ‘두리번’(대표 서국한) 세 곳이다.

엑스온 스튜디오는 국내 최초 버추얼스튜디오 운영사로서 LED 월 스튜디오 운영 솔루션과 기술 노하우를 팀 스튜디오에 제공한다. 미디어엘은 8K 초고화질 영상 제작 기술을 통한 다양한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 노하우를 기반으로 팀 스튜디오의 안정적인 콘텐츠 제작 프로세스를 담당함과 동시에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두리번은 제한된 오프라인 공간을 XR기술과 결합해 최대 200명까지 라이브로 참여할 수 있는 가상공간을 구현할 수 있는 솔루션인 아이튜버를 활용, 실감 미디어 기반의 웨비나, 컨퍼런스 등 고객 맞춤형 가상 프로젝트를 전담한다.

팀스튜디오는 이러한 각 기업의 버추얼 프로덕션 기술 및 콘텐츠 제작 노하우에 SKT의 5G · AI · 클라우드 등 ICT 인프라를 더해 미래형 디지털 콘텐츠 산업을 선도할 지식재산권(IP), 시각특수효과(VFX), 혼합현실(XR) 관련 플랫폼 구축 등 미디어 콘텐츠 제작 패러다임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나아가 웹툰·웹소설·연예기획사와 같은 IP보유 기업과 영화·드라마·광고제작사와 같은 콘텐츠 기업 등 다양한 업계와 컨소시엄 협력도 적극적으로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드라마나 영화, 예능과 같은 사전 제작 콘텐츠 외에도 셀럽 팬미팅이나 쇼케이스, 기업 컨퍼런스 · 웨비나 등 실시간 기반 라이브 콘텐츠 송출 등 제작 콘텐츠의 다양성을 지속 넓혀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SKT 혼합현실 전문 제작소인 ‘점프스튜디오’와는 볼류메트릭(Volumetric) 기술과 LED 월의 시너지 창출을 위한 기술 검토를 진행 중이며, 정부 및 지자체와 LED 월의 배경 리소스 공동 제작 방안 논의 등 대내외 협력도 활발히 추진할 예정이다.

김혁 SKT 미디어지원담당은 “현실을 뛰어넘는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 확산과 이를 소비하는 고객의 기대 수준 상승 등으로 버추얼 프로덕션 시장은 지속 확대될 것”이라며, “팀스튜디오는 IP 보유 기업 및 콘텐츠 기업 등 다양한 업계와 컨소시엄을 확대해 초연결 기반의 버추얼 프로덕션 생태계 확장을 리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장원익 엑스온스튜디오 대표는 “팀스튜디오 컨소시엄은 각 업체들이 보유한 다양한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버추얼 프로덕션 영역의 모든 장르를 소화하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 콘텐츠 제작부터 어셋 라이브러리(Asset Library)까지 토털 버추얼 프로덕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컨소시엄으로 발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본문 요약

  • 미디어 콘텐츠 제작소 ‘팀 스튜디오’가 국내 주요 **버추얼 프로덕션**과 컨소시엄을 이뤄 버추얼 스튜디오 생태계 확장
    • 팀 스튜디오는 지난 6월 경기도 성남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 개관한 LED월 기반 콘텐츠 제작소
    • 3050㎡(약 930평) 규모로 U자 형태의 ‘볼륨 스테이지(길이 21M x 높이5M, with LED플로어)’
    • ‘XR스테이지(길이 5M x 높이3M, with LED 플로어)’ 등 2개의 ‘LED 월 스테이지’를 갖춰 현지 로케이션에 나서지 않아도 실제와 같은 수준의 그래픽을 실시간을 연출
      • LED월을 활용하면 현실과 같은 생동감 속에서 배우들의 촬영 몰입도를 높이고 후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셈
    • 팀스튜디오는 이러한 각 기업의 버추얼 프로덕션 기술 및 콘텐츠 제작 노하우에 SKT의 5G · AI · 클라우드 등 ICT 인프라를 더해 미래형 디지털 콘텐츠 산업을 선도할 지식재산권(IP), 시각특수효과(VFX), 혼합현실(XR) 관련 플랫폼 구축 등 미디어 콘텐츠 제작 패러다임을 선도한다는 계획
    • 웹툰·웹소설·연예기획사와 같은 IP보유 기업과 영화·드라마·광고제작사와 같은 콘텐츠 기업 등 다양한 업계와 컨소시엄 협력도 적극적으로 도모
      • 드라마나 영화, 예능과 같은 사전 제작 콘텐츠
      • 셀럽 팬미팅이나 쇼케이스, 기업 컨퍼런스 · 웨비나 등 실시간 기반 라이브 콘텐츠 송출 등 제작 콘텐츠의 다양성을 지속 넓혀나간다는 계획
    • “팀스튜디오 컨소시엄은 각 업체들이 보유한 다양한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버추얼 프로덕션 영역의 모든 장르를 소화하게 될 것”
    • “앞으로 콘텐츠 제작부터 어셋 라이브러리(Asset Library)까지 토털 버추얼 프로덕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컨소시엄으로 발전해 나가겠다”
  • 엑스온 스튜디오는 국내 최초 버추얼스튜디오 운영사로서 LED월 스튜디오 운영 솔루션과 기술 노하우를 팀스튜디오에 제공
  • 미디어엘은 8K 초고화질 영상 제작 기술을 통한 다양한 뉴미디어 컨텐츠 제작 노하우를 기반으로 팀스튜디오의 안정적인 콘텐츠 제작 프로세스를 담당함과 동시에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역할을 수행할 예정
  • 두리번은 제한된 오프라인 공간을 XR기술과 결합해 최대 200명까지 라이브로 참여할 수 있는 가상공간을 구현할 수 있는 솔루션인 아이튜버를 활용, 실감 미디어 기반의 웨비나, 컨퍼런스 등 고객 맞춤형 가상 프로젝트를 전담
  • SKT 혼합현실 전문 제작소인 ‘점프스튜디오’와는 볼류메트릭(Volumetric) 기술과 LED월의 시너지 창출을 위한 기술 검토를 진행 중
  • 정부 및 지자체와 LED 월의 배경 리소스 공동 제작 방안 논의 등 대내외 협력도 활발히 추진할 예정이다.

* ‘버추얼 프로덕션(virtual production)’이란 기존의 블루스크린을 LED 패널로 대체해 컴퓨터 그래픽을 입히는 대신, 촬영 배경으로 실제로 구현될 배경의 영상을 틀어 놓고 촬영하는 영상 촬영 기법
* 컨소시엄은 공통의 목적을 위한 협회나 조합을 말한다. 컨소시엄은 라틴어로 동반자 관계와 협력, 동지를 의미한다. 컨소시엄의 구성 방법은 주사업자를 주축으로, 크고 작은 업체들이 참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각국 정부에서도 총 투자비용의 규모가 큰 사업 등을 추진할 때는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보통 컨소시엄을 구성할 때는 투자위험 분산, 부족한 기술의 상호보완, 개발이익의 평등분배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 추가 조사 내용

*️⃣ [청소년기자단] '버추얼프로덕션'을 아시나요?

  • 버추얼 세트를 활용하면 대규모 자본이 들어가는 우주나 바닷속 장면과 같은 특수 효과를 합리적 가격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시간과 거리,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 외부 촬영을 할 때 여러 장소에서 촬영할 경우 이동 시간이 필요하지만, 버추얼 프로덕션이라면 디스플레이의 표시 배경만 바꾸면 순식간에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 기간을 단축시켜줄 수 있다.
  • 버츄얼 프로덕션 기법을 사용하게 되면 탄소배출량을 줄여 영화와 광고가 촬영되는 방식을 보다 지속 가능하게 변화
    • 만약 실제 글로벌 투어 콘서트를 진행했다면 수십 명의 출연진과 스태프들이 비행기 등의 교통편을 이용해야 하는데 거기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이 38톤에 달하며 그 외에 들어가는 비용도 5억원 이상으로 예측됐다.
  • 넷플릭스 시리즈 '고요의 바다' 버츄얼 프로덕션 촬영 장면
    • 출연배우인 배두나는 LED가 아닌 달 지면의 연장선이라고 생각할 정도로 너무 자연스러워서 연기할 때 더욱 몰입할 수 있었다고 놀라움을 표했다.
 
 

📺 빠르게 보는 영상 자료

*️⃣ 그래픽 기술을 뛰어넘는 신개념 촬영 기법ㅣ[#빈스큐레이팅] EP.03 버추얼 프로덕션 스테이지

📎 K-콘텐츠 제작 솔루션의 새로운 패러다임!! 
버추얼 스튜디오의 모든 것을 알아보는 시간 
VFX는 가고 버추얼 프로덕션 시대가 온다!!


📮같이 보면 좋을 디자인 참고 자료


👩🏻‍💼 현직자 질문 + 내 생각 + 적용할 점

Q. VFX와 버추얼 프로덕션의 차이?

📌 더 현실적인 화면을 더 저렴한 가격에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의 탄생
📌 환경보호차원에서도 효율적이기에 지속 가능한 디자인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