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경제 신문 스크랩

[📰신문스크랩] [컨콜] LGU+ "아이돌플러스 해외 가입자 비중 전체 60% 넘어"

📰 기사 원문

10월 중순 아이돌플러스 월간활성이용자수 500만 유지

LG유플러스 K팝 플랫폼 '아이돌플러스' 해외 가입자 비중이 6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덕재 LG유플러스 최고콘텐츠책임자(CCO) 전무는 4일 오후 3시 열린 2022년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아이돌플러스는 영어·중국어·일본어·태국어·인도네시아어 등 5개 국어 서비스로 출시됐다"라고 말했다.

이어 "(아이돌플러스는) 현재 해외 가입자 비중이 전체 60% 차지하는 정도로 성장하고 있다. 가시적인 성과로는 10월 중순 정도에 500만 정도의 MAU(월간활성이용자수)를 기록했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아이돌플러스의 가장 중요한 포지션은 아티스트 팬덤과 그 아티스트 기획, 매니지먼트하는 기획사들의 중요한 마케팅 플랫폼이 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날 LG유플러스는 2022년 3분기 연결 실적으로 매출액 3조 5천11억 원, 영업이익 2천851억 원, 당기순이익 1천708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7%, 3.0% 증가한 반면, 당기순이익은 19.1% 떨어졌다.


🗞 원문 기사 링크

 

[컨콜] LGU+ "아이돌플러스 해외 가입자 비중 전체 60% 넘어"

LG유플러스 K팝 플랫폼 '아이돌플러스' 해외 가입자 비중이 6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덕재 LG유플러스 최고콘텐츠책임자(CCO) 전무는 4일 오후 3시 열린 2022년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

n.news.naver.com


👀 본문 요약

  • 아이돌플러스는 영어·중국어·일본어·태국어·인도네시아어 등 5개국어 서비스로 출시
  • "(아이돌플러스는) 현재 해외 가입자 비중이 전체 60% 차지하는 정도로 성장
  • 가시적인 성과로는 10월 중순 정도에 500만 정도의 MAU(월간활성이용자수)를 기록
  • 아이돌플러스의 가장 중요한 포지션은 아티스트 팬덤과 그 아티스트 기획, 매니지먼트하는 기획사들의 중요한 마케팅 플랫폼이 되는 것
  • LG유플러스는 2022년 3분기 연결 실적으로 매출액 3조5천11억원, 영업이익 2천851억원, 당기순이익 1천708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
    •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7%, 3.0% 증가한 반면, 당기순이익은 19.1% 떨어졌다

📑 추가 조사 내용

 

*️⃣ [LGU+컨콜] “콘텐츠 사업 매출 내년 구체화… 하반기엔 구독 사업 확장”

  • LG유플러스가 라이프스타일, 놀이, 성장케어, 웹(Web)3.0 등 4대 플랫폼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는 미래 성장전략을 발표한 가운데 일부 신사업은 내년부터 매출이 구체화될 것이란 전망
  • 성장케어 플랫폼에서 아이들나라 서비스의 경우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키즈 OTT로 지향해 여러 비즈니스 모델을 성립시키기 위한 것들을 많이 구체화
  •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은 구독 사업 ‘유독’을 계속 추진함과 동시에 새로운 구독 모델을 만들기 위한 작업들을 이제 시작하는 단계”
  • “놀이 플랫폼 속 아이돌플러스 등 콘텐츠 사업의 경우 내년부터 매출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게 될 계획이며, 구독이나 루틴 서비스가 확장되는 것은 내년 하반기가 돼야 구체화될 것”
  • “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비즈니스모델 전환을 위해 이를 추진할 조직들을 구성하고 있다”며 “해당 사업들이 신사업으로서 독립적으로 설 수 있도록 조직을 구체화하며 그걸 리드할 TO와 개발자들을 충원하는 중”
  • 5년 뒤인 오는 2027년까지 비통신 매출 비중을 40%까지 확대하고 기업가치도 12조 원까지 성장하겠다는 목표

*️⃣ LGU+ 5G 가입자 50% 돌파… 본업 무선 호조에 3분기 매출·영업익 개선(종합)


👩🏻‍💼 현직자 질문 + 내 생각 + 적용할 점

📌 인사이트

  • LG유플러스는 2022년 3분기 연결 실적으로 매출액 3조5천11억원, 영업이익 2천851억원, 당기순이익 1천708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7%, 3.0% 증가한 반면, 당기순이익은 19.1% 떨어졌다.
  • LG유플러스가 라이프스타일, 놀이, 성장케어, 웹(Web)3.0 등 4대 플랫폼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는 미래성장전략을 발표한 가운데 일부 신사업은 내년부터 매출이 구체화될 것이란 전망
  • 성장케어 플랫폼에서 아이들나라 서비스의 경우 기존 비즈니스 모델 키즈 OTT로 지향해 여러 비즈니스 모델을 성립시키기 위한 것들을 많이 구체화
  • 영업이익 상승중, 중장기 목표가 따로 있음

Q. 기존 비즈니스모델 → 키즈 OTT로 방향성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