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경제 신문 스크랩

[📰신문스크랩] 포털·웹툰은 네이버, 메신저·금융은 카카오로 사용자 몰린다

📰 기사 원문

[모바일인덱스, 8월 주요 모바일앱 사용량 비교 메신저에서 카카오 압도… 카톡, 라인 약 26배 네이버웹툰 사용자, 카카오페이지 약 두 배]
자료=모바일인덱스

네이버(NAVER)와 카카오의 주요 모바일 앱 사용자가 4000만명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국민이 네이버 또는 카카오의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네이버는 포털 앱에서, 카카오는 메신저 앱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기록했다. 양사는 비슷한 서비스의 앱을 다수 운영하고 있는데, 이용자는 이 중 각 기업에 특화된 한쪽 앱으로 몰리는 경향을 보였다. 단, 웹툰·웹소설 서비스는 양사 앱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모바일인덱스는 27일 네이버와 카카오가 운영하는 앱의 8월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 지표를 공개했다. 네이버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은 앱은 포털 앱인 '네이버(4015만 1090명)'였고, 카카오에서는 '카카오톡(4319만 6403명)'이 가장 많은 사용자를 기록했다.

 

/자료=모바일인덱스

네이버 앱과 카카오톡 앱은 같은 분야에서 경쟁 앱을 압도하는 사용량을 기록했다. 네이버의 메신저 앱인 '라인'의 8월 MAU는 164만 6544명이다. 카카오톡이 약 26배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것이다. 반면, 포털 분야에서는 네이버가 카카오를 압도했다. 네이버 앱 사용자 규모는 카카오의 포털 앱인 '다음' 사용자(844만 8342명)보다 약 5배 컸다.

이용자가 네이버와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시간도 길었다. 카카오톡 사용자는 월평균 26.74일 동안 카카오톡 앱을 사용했다. 월 평균 사용시간은 12.28시간에 달한다. 네이버 사용자는 한 달에 20.8일, 월 평균 9.05시간 동안 네이버 앱을 썼다.

 

/자료=모바일인덱스

웹툰·웹소설 분야에서는 네이버가 두 배 가까운 사용자를 기록했다. 8월 기준 네이버 웹툰과 네이버 시리즈 사용자는 각각 889만 7994명, 464만 1126명이었다. 중복 사용자를 제외하면 두 앱 사용자는 992만 3264명에 달한다. 카카오페이지(464만 1126명)와 카카오 웹툰(171만 8681명)의 사용자는(중복 제외) 553만 6211명이었다.

다만, 다른 분야와 달리 웹툰·웹소설 사용자는 네이버와 카카오의 앱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카카오 웹툰' 이용자의 80.9%와 카카오페이지 이용자의 53%는 '네이버 웹툰'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송금·결제·뱅킹 등 금융 분야는 카카오가 네이버를 앞질렀다. 카카오의 금융 서비스 앱인 카카오페이·카카오 뱅크 앱 사용자는 각각 464만 1126명, 1297만 8357명으로 총 2226만 609명(중복 포함)**이고, 네이버의 금융 서비스 앱인 네이버페이 사용자는 70만 7319명이었다. 특히 카카오페이는 송금·결제 업종 내 단독 사용 비율이 9.81%로 충성 고객 비중이 네이버페이(5.41%)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자료=모바일인덱스

지도·내비게이션 분야에서는 네이버가 카카오보다 많은 사용자를 기록했다. 네이버지도 앱의 8월 MAU는 2129만 5195명으로 카카오 맵의 950만 2624명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그러나 두 앱을 모두 사용하는 사용자(약 474만 명)는 네이버지도보다 카카오 맵을 조금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원문 기사 링크

 

포털·웹툰은 네이버, 메신저·금융은 카카오로 사용자 몰린다

[모바일인덱스, 8월 주요 모바일앱 사용량 비교 메신저에서 카카오 압도…카톡, 라인 약 26배 네이버웹툰 사용자, 카카오페이지 약 두 배] 네이버(NAVER)와 카카오의 주요 모바일 앱 사용자가 4000만

n.news.naver.com


👀 본문 요약

  • 네이버(NAVER)와 카카오의 주요 모바일 앱 사용자가 4000만명을 넘어서는 것
    • 대부분 국민이 네이버 또는 카카오의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 네이버는 포털앱에서, 카카오는 메신저앱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기록했다. 양사는 비슷한 서비스의 앱을 다수 운영하고 있는데, 이용자는 이 중 각 기업에 특화된 한쪽 앱으로 몰리는 경향을 보였다.
  • 단, 웹툰·웹소설 서비스는 양사 앱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 네이버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은 앱은 포털 앱인 **'네이버(4015만1090명)'**였고, 카카오에서는 **'카카오톡(4319만6403명)'**이 가장 많은 사용자를 기록
    • 이용자가 네이버와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시간도 길었다. 카카오톡 사용자는 월 평균 26.74일 동안 카카오톡 앱을 사용했다. 월 평균 사용시간은 12.28시간에 달한다. 네이버 사용자는 한 달에 20.8일, 월 평균 9.05시간 동안 네이버 앱을 썼다.
  • 카카오톡이 약 26배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것이다.
    • 네이버의 메신저 앱인 '라인'의 8월 MAU는 164만6544명이다.
  • 포털분야에서는 네이버가 카카오를 압도했다. 네이버앱 사용자 규모는 카카오의 포털 앱인 '다음' 사용자(844만8342명)보다 약 5배 컸다.
  • 웹툰·웹소설 분야에서는 네이버가 두 배 가까운 사용자를 기록
    • 8월 기준 네이버웹툰과 네이버시리즈 사용자는 각각 889만7994명, 464만1126명이었다. 중복 사용자를 제외하면 두 앱 사용자는 992만3264명에 달한다.
    • 카카오페이지(464만1126명)와 카카오웹툰(171만8681명)의 사용자는(중복 제외) 553만6211명이었다.
    • 다만, 다른 분야와 달리 웹툰·웹소설 사용자는 네이버와 카카오의 앱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카카오웹툰' 이용자의 80.9%와 카카오페이지 이용자의 53%는 '네이버웹툰'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송금·결제·뱅킹 등 금융 분야는 카카오가 네이버를 앞질렀다.
    • 카카오의 금융 서비스 앱인 카카오페이·카카오뱅크 앱 사용자는 각각 464만1126명, 1297만8357명으로 총 2226만609명(중복 포함)
      • 특히 카카오페이는 송금·결제 업종 내 단독 사용 비율이 9.81%로 충성 고객 비중이 네이버페이(5.41%)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
    • 네이버의 금융 서비스 앱인 네이버페이 사용자는 70만7319명이었다.
  • 지도·내비게이션 분야에서는 네이버가 카카오보다 많은 사용자를 기록
    • 네이버지도 앱의 8월 MAU는 2129만5195명으로 카카오맵의 950만2624명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 그러나 두 앱을 모두 사용하는 사용자(약 474만명)는 네이버지도보다 카카오맵을 조금 더 많이 사용

📑 추가 조사 내용

*️⃣ 한번 보면 홀린 듯 다음화 결제… 웹툰이 OTT보다 알짜 [Digital+]

  • 웹툰과 만화는 다르다. 웹툰은 모바일 스크롤에 최적화된 50~60컷의 디지털 만화를 의미
    • 이미지와 사운드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해 기존 만화보다 짧고 굵은 재미를 추구
    • 빠른 생산과 유통에 최적화된 포맷이라는 분석
    • 통상적으로 주 1편씩 연재되는데, 무료로 일부 회차를 보여준 후 유료로 다음 회차를 공개하는 방식으로 수익화
    • 콘텐츠에 궁금증 유발 장치를 둬 독자 이탈률이 낮고 댓글을 통한 공유와 소통이 가능한 것도 특징
  • 웹툰은 한국이 종주국. 네이버와 카카오가 시장을 양분하며 전 세계 시장에서 'K웹툰' 영토
    • 미래에셋증권은 '모바일 시대 웹툰' 보고서에서 "국내 시장에서 웹툰은 수익모델 도입에 따라 '단순한 관심→트래픽 증가→결제액 증가'로 연결됐다"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유사 현상이 기대돼 한국 플랫폼과 콘텐츠 사업자에게 큰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 실제로 전 세계 엔터업계에선 웹툰을 젊고 트렌디한 주류 콘텐츠. 미국 웹툰 이용자 중 80%가 24세 이하다. 웹툰 작가의 경우 고소득 직종으로, 유망한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시장으로 몰리고 있는 것도 긍정적
    • 웹툰 시장에서는 플랫폼이 광고, 유료 결제, 지식재산권(IP) 판매 등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작가 등 콘텐츠 제공자에게 지급
    • "웹툰 플랫폼은 장고 끝에 '부분 유료화'의 수익모델을 제시했다"면서 "유료 결제에 대한 심리적 장벽 때문에 소액 결제를 선호하는 이용자들 다수가 이에 쉽게 적응했고, 장기적으로는 정액제보다 더 우월한 건당 과금 수익모델이 예상보다 쉽게 안착됐다"고 평가했다.
      • 웹툰 플랫폼이 광고 중심의 유튜브나 월정액 중심의 넷플릭스, 광고와 유료 모델이 혼합된 스포티파이보다 더 높은 ARPPU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게 증권업계 분석

*️⃣ 카카오페이 오프라인 결제도 강화, 신원근 치열한 페이시장 경쟁 승부

  • 29일 카카오페이에 따르면 카카오페이는 국내 판매시점정보관리기기(POS, Point of Sales) 1위 회사인 오케이포스의 지분 투자를 진행
    • 온라인 결제에서 시작한 카카오페이는 그동안 편의점, 마트, 백화점, 카페 등 가맹점을 중심으로 오프라인에서도 카카오페이로 결제할 수 있도록 협업하는 전략
    • 2022년 6월 말을 기준 166만 곳까지 오프라인 결제처
    • 현재 카카오페이는 국민 앱으로 불리는 카카오를 바탕으로 2022년 6월 말 기준 등록 이용자 수 3815만 명, 월간활성이용자수(MAU) 2150만 명을 기록하고 있다. 거래액은 2021년 기준 약 29조 원이다.
    • 오케이포스를 통한 판매 데이터를 확보한 뒤 이를 카카오페이 비즈니스 앱에 연결해 사용성을 강화해 나간다는 전략을 추진
      • 카카오페이는 2020년부터 카카오페이 비즈니스 앱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매출 관리, 매장 관리, 멤버십, 매출 리포트, 결제 취소, 직원 관리, 매장 광고, 배달주문 등의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
      • 결국 오케이포스를 사용하는 가맹점주를 카카오페이 비즈니스 앱의 이용자로 끌어들일 수 있다는 것
        *오케이포스는 국내 오프라인 결제 시장점유율 40%를 차지하고 있는 포스기기 생산·유통 전문 기업
  • 이커머스 업체 쿠팡은 2020년 8월 전자결제 자회사 쿠팡페이를 출범
    • 올해 7월에는 글로벌 핀테크 기업 페이팔 출신 비제쉬 아이어를 각자대표로 선임하며 사업을 본격화할 준비
    • 쿠팡페이를 바탕으로 금융과 이커머스의 시너지
  •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도 지난해 하반기부터 당근페이를 출시해 결제 서비스와 간편 송금 서비스를 시작
    • 8일에는 당근페이에 계좌송금 기능을 추가
  • 국내에서 사용하지 못했던 애플페이도 현대카드와 협업
  • 삼성전자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삼성페이는 국내에 깔린 수많은 갤러시폰들을 무기로 삼아 사업을 계속 확장
  • 네이버도 계열사 네이버파이낸셜을 통해 네이버페이라는 간편결제서비스에 힘
    • 네이버파이낸셜은 2025년까지 연간 페이 이용액 100조 원을 달성해 1위 사업자가 될 것을 목표로 삼았다. 네이버페이는 2022년 상반기 기준 이용자 수 약 2900만 명, 거래액은 2021년 기준 약 38조 원이다.
  • 금융 플랫폼기업 토스 역시도 토스페이를 통한 온오프라인 결제 서비스를 갖추고 있으며 계열사 토스페이먼츠를 통해 포스기기도 직접 만들어 공급할 계획
  •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는 신한플레이와 KB페이를 중심으로 결제 플랫폼 환경을 다시 구축하는 움직임
    • 은행권 카드사들을 중심으로 빅테크의 간편결제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오픈페이' 서비스도 다음 달부터 시작
      *오픈페이는 각 카드사의 간편결제 앱에서 다른 회사 카드를 호환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 빠르게 보는 영상 자료

*️⃣ 네이버 vs 카카오 성장과정 10분 요약, NAVER vs kakako

📎 사람마다 개인적인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는 뉴스나 검색은 네이버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고
SNS 활동이나 택시 등의 교통분야를 활용할 때는 카카오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죠.


📮같이 보면 좋을 디자인 참고 자료

  네이버 지도 카카오 맵
음성 검색 검색창에 함께 표시 입력창에 표시X
거리뷰/로드뷰(위치지정) 자동차가 이동한 경로 자동차가 이동한 경로
핀 포인트 아이콘 검색 지점이 어떤 카테고리인지 알 수 있도록 핀 포인트(카페, 식당, 은행 등) 파란색 포인트 하나로 표시
확대/축소 두 손 핀치 제스처  
+/- 버튼 확대/축소 버튼 없음  
거리뷰/로드뷰(장소) 아이콘 없음 매장 정보와 함께 로드뷰 아이콘이 있어 쉽게 인지 가능
데이터랩 데이터랩의 인기토픽 노출 데이터랩 없음
출발/도착 도착을 누르면 현 위치 출발점으로 길찾기  
대중교통이 기본 현 위치에서 검색한 장소로 가능 길찾기 바로 실행  
목록 목록 보여주는 버튼 없음 목록 버튼 있음
현위치 검색 결과 창에서 현 위치와 동시에 보여주지 않고, 검색결과만 노출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현 위치에서 검색 장소가 떨어진 곳 노출
별점 리뷰수는 있지만 별점 X 별점정보와 리뷰 수
영업중 여부 X O

👩🏻‍💼 현직자 질문 + 내 생각 + 적용할 점

Q. 해외 사용자까지 포함하면 어떤 수치가 나올까?(라인)
Q. 4000만 명, 국민 대부분이 사용하는 찐 국민 앱
Q. 콘텐츠 분야에서는 중복 사용자가 많은데 그 이유 → 콘텐츠의 차별화 포인트
Q. 지도 앱 같은 경우, 카카오 맵 사용자가 네이버까지 모두 다운로드한 이유? 네이버가 앞서는 이유
Q. 카카오페이의 충성 고객이 높은 이유 → 애플 페이의 등장은 어떤 영향을 미칠지
Q. 라인 → 국내 사용자 점유율을 높일 계획이 있는지, 해외타겟으로만 사업방향?
Q. 웹툰, 웹소설의 수익화 방법(다음 회차 이외)
Q. 다양한 페이 서비스가 자체 시스템을 개발하려는 이유

 

📌 국민 삶 전반에 침투해 녹아들고 있는 양사 앱, 글로벌 방향